본문 바로가기
주식

포스코퓨처엠(003670) 차트 분석: 매수·매도 전략 총정리(단타/스윙/포지션)

by stockroh 2025. 8. 8.
반응형

포스코퓨처엠 주가 차트 — 137,700원 지지선과 150,000원 저항선 표시, 상승 추세선 강조

📌 목차


 

1. 차트 스냅샷 & 핵심 포인트

  • 2025년 5월 저점 95,476원 형성 후 우상향 진행.
  • 150,000원 부근 단기 저항. 137,700원 인근 최근 조정 저점으로 강한 지지.
  • 볼린저 상단 근처 횡보 → 단기 과열 가능성, 거래량 둔화 시 눌림 주의.

 

2. 가격 추세와 지지·저항

최근 상승파동은 저점과 고점을 높이며 진행 중입니다.

수급이 붙을 때는 장대양봉+거래량이 확인되지만,

저항대 접근 시 거래량이 줄며 짧은 조정이 반복됩니다.

  • 주요 지지: 137,700원(최근 조정 저점·수평지지), 이탈 시 132,000~130,000원(반등 대기 구간)
  • 주요 저항: 150,000원(단기), 돌파 시 155,000원, 160,000~165,000원(스윙 분할청산권)

 

3. 보조지표 해석(RSI·MACD·이격도)

  • RSI(14): 60선 인근 → 과매수(70+) 전 단계. 상단 저항 터치 후 눌림 가능성.
  • MACD: 양(+) 구간 유지하나 시그널과 격차 축소 → 단기 데드크로스 주의.
  • 이격도: 60선 상회 → 단기 과열권 진입 직전. 눌림 매수 유리.

 

4. 매수 전략(시나리오별)

① 보수적 분할매수(추천)

  • 1차: 137,700±1% 지지 확인(장중 하락 후 종가 회복 or 저점대비 거래량 감소) 시 30%.
  • 2차: 134,000~132,000원 눌림 시 30%.
  • 3차: 130,000원 터치 근처(장대음봉+과매도 급락 시) 40%.
  • 손절: 종가 기준 130,000원 명확히 이탈 시 전량 정리.

② 추세 돌파매수(모멘텀)

  • 조건: 150,000원 상향 돌파 + 전일 대비 거래량 150%↑.
  • 진입가: 150,500~151,500원 박스 상단 재돌림 확인 후 50% 진입.
  • 추가: 155,000원 돌파 재확인 시 나머지 50%.
  • 손절: 돌파 실패해 149,000원 하향 종가 마감 시 전량 컷.

③ 단타(당일/1~3일)

  • 장 초반 갭상승 후 VWAP 상회+5분봉 기준 저점 Higher Low 유지 시 시가±1% 매수.
  • 익절: +2~3% 구간 분할. 손절: -1.5% 고정.

 

5. 매도 전략(단타/스윙)

단타 청산

  • 150,000원 부근에서 음봉 전환+체결강도 약화 시 즉시 절반 청산.
  • RSI 70 도달&5분봉 MACD 데드 → 잔여 물량 정리.

스윙 청산

  • 1차: 155,000원(저항 재진입) 30%.
  • 2차: 160,000~162,000원 40%.
  • 3차: 165,000원 이상 급등 시 잔여 전량 혹은 추세선 이탈 시 전량.

추세 이탈 강제청산: 종가 기준 137,700원 이탈 + 거래량 증가 → 보유 물량 비중 축소 또는 전량 정리.

 

6.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

  • 진입 전 손절가격·물량을 먼저 확정(계좌당 1회 손실 -1%~-2% 내 관리).
  • 돌파 추격 시 거래량 확인 필수(전일 대비 150% 이상).
  • 뉴스 호재 후 2~3일간은 변동성 확대. 갭 상승 시 분봉 전환 확인 후 진입.
  • 동일 섹터 급락 시(소재/2차전지) 베타 리스크 고려해 비중 조절.

 

7. 한눈에 보는 트레이딩 플랜

전략 진입 조건 손절 목표/청산
분할 매수(보수적) 137,700원 지지 확인 → 132,000원까지 2~3회 분할 130,000원 하향 종가 155,000 → 160,000~165,000 분할
돌파 매수(모멘텀) 150,000원 돌파 + 거래량 150%↑ 149,000원 하향 종가 155,000 1차, 160,000~165,000 2·3차
단타 VWAP 상회, 5분봉 Higher Low 유지 -1.5% +2~3% 분할

 

8. 유의사항

본 글은 공개된 차트와 일반적 기술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교육용 분석입니다.

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,

시장 상황(정책/뉴스/수급)에 따라 시나리오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반응형